2020년 10월01일 제정
2025년 01월23일 1차개정
제1조. (투고방식)
1. 불교문화재연구는 전문적인 학술지로서 국내외 불교미술에 관한 논문, 연구노트, 연구자료 등이 게재된다. 투고하고자 하는 원고는 마감일까지 투고신청서와 함께 불교문화재연구 편집위원회 대표메일(dongbulyeon@naver.com)로 제출한다.
2. 원고는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여야 하며, 본문에 수록되는 그림과 사진이 포함된 디지털 파일을 전자메일로 함께 제출한다. 최종원고 제출 시 사진은 해상도 300dpi이상으로 한다.
제2조. (논문의 분량과 도판매수)
1. 원고분량은 영문초록과 참고문헌을 제외하고 A4용지 15매 내외로 한다.
2. 도판 매수는 20매를 상한으로 한다.
제3조. (게재료)
1. 투고자에게 게재료를 부과하지 않는다.(1차개정)
제4조. (교정)
1. 게재가 확정된 논문은 심사의견서를 반영하여 편집 전까지 집필자의 수정을 거친다.
2. 편집 후 출판과정에서의 필자 교정은 잘못된 표기의 정정에 한정하며 원문의 증감은 인정하지 않는다.
제5조. (논문 작성 형식)
1. 일반 원칙
가. 원고는 제목, 필자이름(소속), 목차, 머리말, 본문,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주제어, Abstract, Keywords 의 순서로 구성한다.
나. 논문은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편집용지는 A4좁게, 글꼴은 '바탕 또는 명조' 로 설정한다. 글자 크기는 11pt, 각주 9pt, 줄 간격은 160%로 한다. 들여쓰기는 4를 지정해준다.
다. 고유명사의 경우 처음에만 괄호 안에 한자 및 외래어를 병기하고, 그 이후에는 큰 문제가 없는 한 한글로 쓴다.
라. 중국과 일본의 고유명사를 쓰는 경우는 다음 중 하나로 통일한다
① 한자로 표기하고 처음 나올 때에 괄호 안에 발음을 병기한다.
② 일본어의 경우만 발음을 병기한다.
③ 한자로만 표기한다.
2. 목차의 구성
원고의 항목은 Ⅰ., 1., 1), (1), 가로 번호 매김을 한다. 단 목차에는 장(Ⅰ.)과 항(1.)까지만 기재한다.
3. 도판과 표
가. 본문 이외의 자료들은 도와 표로 통일한다. 도에는 사진, 도면, 지도를 포함한다. 표의 제목은 표 상단에, 도의 제목은 그 하단에 표기한다. 출전은 각주로 처리하거나 제목 뒤 괄호 안에 표기한다.
나. 도판설명은 도의 번호, 작가, 작품명, 제작연도 또는 시대, 재료, 크기, 소장처 순으로 쓰고 마침표를 생략한다. 다른 문헌의 사진을 이용할 경우, 도판 설명 뒤에 사진 출처를 반드시 밝힌다.
다. 도판과 표가 문장의 끝에 들어갈 경우, 마침표는 도판 번호 뒤에 넣는다. 예) …작품이다(도 1).
4. 인용문
가. 한글 번역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하면 주에 원문을 병기한다.
나. 인용문의 글자크기는 8.5pt, 줄 간격은 140%로 한다.
다. 인용문이 길어 문단을 나눌 경우에는 들여쓰기를 하며, 위아래 한 칸씩 띄운다.
라. 인용문의 출전 표시는 각주로 처리한다. 금석문처럼 번역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한문 등 원문을 싣는다.
5. 주석
가. 주석은 각주를 원칙으로 한다. 각주의 위치는 문맥이 끝나는 곳에 마침표를 찍은 후 각주를 넣거나 내용이 문장 속에서 끝나는 부분에 넣는다.
나. 각주의 글자크기는 9pt, 줄 간격은 140%로 한다.
다. 한국 및 동양문헌
① 저서 : 저자, 『서명』(발행처, 발행연도), 인용쪽수의 순으로 표기한다.
② 번역서 : 원작자, 번역자,『서명』(발행처, 발행연도), 인용쪽수의 순으로 표기한다.
③ 학술지 논문 : 발간학회는 생략하고 발간년도만 표기한다.
예1) 저서 - 저자, (번역서인 경우 역자), 저서명(출판사, 연도), pp.~
예2) 논문(정기간행물) - 저자, ?논문?, 저서(잡지명)(출판사, 연도), pp.~
라. 서양문헌
각주에 저자의 이름을 적을 때는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나중에 쓴다.
① 저서 - 저자, (번역서인 경우 trans.번역자명), 저서명(이탤릭체), (도시, 출판사, 연도), pp.~
② 번역서 : 번역자의 이름을 책 제목 뒤에 쓴다.
③ 논문: 저자(성, 이름), "논문명", 서명(이탤릭체), 발행지명(발행시기), 인용쪽수의 순서로 표기한다.
예1) Eugene Y. Wang, Shaping the Lotus Sutra: Buddhist Visual Culture in Medieval Chin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pp. 382-386.
마. 반복 인용
① 바로 위의 문헌을 인용할 때는 저자, 위의 논문(책), 쪽수의 순서로 표기한다. 바로 위 이전의 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저자, 앞의 논문(책), 쪽수의 순서로 표기한다.
② 영어 등 구미권의 논저의 인용이 계속되는 경우 역시 저자, 앞(위)의 글(책), 쪽수 순으로 표기한다.
③ 동일 저자의 논문 및 단행본이 있을 경우 구별하기 위하여 “저자, 앞의 글(연도), 쪽수”, 저자, 앞의 책(연도), 쪽수“로 표기한다.
6. 참고문헌
가. 본문에 인용된 문헌만 표기하고, 문헌자료, 단행본, 논문, 도록 및 보고서, 신문, 인터넷자료 순서로 정렬하며, 또한 나라별로는 한국문헌, 동양문헌(중국, 일본 순), 서양문헌의 순서로 나열한다. 동양문헌의 경우 한글발음 순서로, 영문은 알파벳 순서로 열거한다.
나. 한국 및 동양문헌
① 저서 -저자명, 서명, 발행처, 발행연도 순으로 표기한다.
② 번역서 -저자명, 역자명, 서명, 발행처, 발행연도 순으로 표기한다..
③ 학술지 논문 : 저서 및 번역서의 형식과 유사하며 발간학회는 생략한다.
다. 서양 저자의 경우 주석과 달리 성을 먼저 쓴다.
① 저서
예) Wang, Eugene Y. Shaping the Lotus Sutra: Buddhist Visual Culture in Medieval Chin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② 번역서 : 번역자의 이름을 책 제목 뒤에 쓴다.
예) Seckel, Dietrich. The Art of Buddhism, tran. Ann E. Keep, New York; Crown, 1964.
③ 학술지
예) Faure, Bernard. "The Buddhist Icon and the Modern Gaze", Critical Inquiry, vol. 24. no. 46, Spring 1998, pp. 768-813.
7. 표기원칙
가. 외래어 표기와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립국어원(www.korean.go.kr)의 어문 규정에 따른다. 중국어 명칭의 로마자 표기는 한어병음 표기법에 따른다.
나. 처음 나오는 인명표기는 한국과 중국의 경우 한자로만 표기하고, 서양과 일본의 경우 한글이름(영문/일문, 연도)로 표시한다. 예) 元曉(617~686), 쵸겐(重源, 1121~1206)
다. 기호
' ': 강조, 정의
" ": 인용
『 』 : 서명
「 」: 논문명
8. 주제어 제시
가. 논문의 주요 개념이나 주제어는 국문초록의 끝에, Keywords는 Abstract 끝에 5단어 내로 표기한다.
나.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와 중국어 명칭은 7항의 표기 원칙에 따른다.
9. 국문초록 및 영문초록
가. 투고 논문은 국문 초록을 첨부해야 한다. 분량은 최대 600자에 이내로 제한한다.
나. 영문 초록(Abstract)은 국문 초록을 기초로 최대 800자 이내로 번역한다.
다. 영문초록을 편집위원회에 의뢰할 경우 번역 비용은 투고자가 부담한다.
제6조 부 칙
1. 본 지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을 따른다.
2. 이 규정의 효력은 2020년 10월01일부터 발생한다.
3. 이 투고규정은 2025년 01월23일부터 적용한다.